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은영 육아법", 우리 아이게겐 안맞는 이유?

by 이해 되는 정보 2022. 5. 19.
반응형

 


'완벽한 부모' 돼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야

아이가 커가며 자연스럽게 흘러갔을 사건도 육아 조언 예능의 프레임을 거치며 문제시되는 경향도 있다. 허지원 교수는 “방송이 특정 행동을 하는 아동을 ‘문제 아동’으로 조명하는 순간,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비슷한 행동을 하면 아이를 교정해야 한다는 편견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방송에 나오는 전문가들도 강조하듯, 아이들의 모난 부분은 대부분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사회생활을 하며 둥글게 다듬어진다.

 

 

2022.05.19 - [분류 전체보기] - 마기꾼, 마스크 벗은 얼굴에 "실망"하는 까닭?

 

마기꾼, 마스크 벗은 얼굴에 "실망"하는 까닭?

마스크가 가린 얼굴, 개인 이상형으로 채워 사람은 심리학적으로 좋은 면을 먼저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마스크로 가려진 부분을 선호하는 얼굴로 채울 수도 있지 않을까? 서울대 심리학과

esundoo.sunyataproductions.com

 


육아 조언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바람직한 부모상’을 꼭 따라야 할 필요도 없다. 부모가 자신을 방송 속 전문가와 과도하게 동일시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방송에 나오는 전문가는 상황을 제3자로서 관찰하고 객관적 진단을 내려야 한다. 시종일관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는 게 당연하다. 반면 부모는 아이와 직접 소통하며 화를 내고 싸우는 입장이다. 애초에 제3자가 아닐뿐더러 갈등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도 어렵다.

 

 

 

 

 


허지원 교수는 “요즘은 양육자들이 아이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걸 터부시하고, 화가 나도 조곤조곤 타일러야 한다는 강박을 느낀다”며 “그러나 부모와 싸웠다가 잘 화해하기만 하면, 감정적 충돌은 오히려 아이의 심리적 회복력을 길러준다”고 강조했다. 육아는 장기전이다. 부모 역시 감정이 있는 인간임을 인정하고, 아이와의 갈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지치지 않을 수 있다.


TV 속 상황과 우리 가족의 상황, 엄연히 달라

우선 방송 속 상황과 우리의 상황이 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는 TV에 보여지는 내담자의 행동만 보고 조언하는 것이 아니다. 행동 이면에 있는 심리 상태는 물론이고, 개인 삶의 내력이나 가족의 역사까지 파고든다. 이런 내막을 프로그램이 다 담을 수는 없다. 그것을 알지 못한 채 프로그램 속 상황을 자기 가족의 상황과 완전히 동일시하는 건 섣부른 판단이다. 명지대 아동학과 한유진 교수는 “전문가는 내담자의 삶을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에야 조언하지만, 방송에 이 과정이 다 담기진 않는다”며 “조언에 밑거름된 전체 맥락을 알지 못한 채, 결과물로서의 조언만 모방하면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2022.05.19 - [분류 전체보기] - "유방암" 예방하는 생활 속 습관!

 

"유방암" 예방하는 생활 속 습관!

매일 20분 햇볕 쬐며 산책하기 매일 20분 이상 햇볕을 쫴 체내 비타민D를 합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비타민D는 유전자를 조절해 암세포 증식과 전이를 막고, 정상 세포가 자라도록 돕는다. 실제

esundoo.sunyataproductions.com

 


ADHD나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대한 조언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적합한 해법이 나에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겉보기엔 같은 증상이라도 개인의 성향 및 인생 경험에 따라 해결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대 심리학부 허지원 교수는 “방송에 나오는 전문가 조언은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지, 시청자 개개인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1대1 맞춤 처방이 아니다”라며 “일반적으로 맞는 조언이라도, 상황의 개인차 때문에 나에겐 맞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방송에 나온 조언을 따라 해서 효과가 없다고 낙담하는 것은 금물이다. 허지원 교수는 “방송에 나오는 조언으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 해서 다른 대책을 찾아보길 단념해선 안 된다”며 “나 자신, 또는 우리 가족에게 또 다른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2.05.19 - [분류 전체보기] - "이런 사람"은 코로나 증상 더욱 심하다?!

 

"이런 사람"은 코로나 증상 더욱 심하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아동병원 연구팀은 552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비만 상태에 따른 코로나19 증상의 심각도를 조사했다. 참가자들 중 18세 이상 261명, 12~17세 청소년 61명, 12세 

esundoo.sunyataproductions.com

2022.05.19 - [분류 전체보기] - "손가락" 접었다 펴보세요!! '이 증상'이 있다면?!

 

"손가락" 접었다 펴보세요!! '이 증상'이 있다면?!

스마트폰이나 키보드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면서 손가락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 또한 늘고 있다.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나아지지만, 심한 경우 통증이 오

esundoo.sunyataproductions.com

2022.05.19 - [분류 전체보기] - 바나나, "숙성 정도" 따라서 건강 효과 달라진다!

 

바나나, "숙성 정도" 따라서 건강 효과 달라진다!

갈색 바나나에 갈색 반점(슈가 스팟)이 생기면서 갈색으로 변하면 과숙성 상태다. 슈가스팟이 생기면 비타민과 미네랄 함량은 줄어들고, 당 성분은 더 많아진다. 이 상태의 바나나는 면역력 향

esundoo.sunyataproductions.com



반응형

댓글